반응형
설정상 아리오스는 양어깨의 날개가 박살나면 추진력, 공격력, 방어력을 모두 잃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트란잠도 못써보고 발렸음에도 아무도 신경 안쓰는건가....;;;
OS도 새로 갈아엎었겠다, 이전에 비해 업데이트되면서 퇴출되거나 추가된게 많으므로 새로 정리도 할겸 포스팅합니다.
01. Fasterfox Lite
- 별거 있습니까. 빠른 웹서핑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깔아야할 최적화 툴.
02. Tab Mix Plus
- 웹에서 작업하기 위해서는....아니, 파폭을 편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툴. 파이어폭스의 탭 설정을 세세한 부분까지 건드릴 수 있도록 하는 툴입니다. 여기에 이미 닫은 탭을 목록으로 저장했다가 필요할때 다시 열게할 수 있는 기능까지 붙어나오므로 정말 활용도가 높은 툴.
03. Adblock Plus
- 쾌적한 웹서핑을 위한 부가기능 그 첫번째. 이것만으로도 웹에서의 무자비한 광고를 절반이상 제거할 수 있습니다. 간혹 다음팟같이 광고가 붙어나오는 플레이어는 약간의 설정으로 시청가능.(IE외의 브라우저를 지원하지 않는 마이TV같은건 대책이 없지만)
04. Flashblock
- 쾌적한 웹서핑을 위핸 부가기능 그 두번째. 웹에서 나오는 플래쉬를 전부 블록해버립니다. 다만 Adblock과는 다르게 원하는 플래쉬만 꼭 집어서 바로 활성화 가능하다는게 포인트. 한번 클릭하시는게 귀찮을지도 모르지만, 대신 필요없는 플래쉬를 막아서 페이지를 읽는 속도단축 가능.(인터파크같은 곳을 한번 들어가보면 플래쉬로 떡이되어 나오는데 덕분에 화면의 절반이 블록....;;;)
05. Foxmarks Bookmark Synchronizer(Xmarks)
- 파이어폭스에의 북마크를 웹에 동기화해 실시간으로 백업해주는 부가기능 구 Foxmark. 현재 구글크롬과 IE8도 지원하면서 Xmakr로 개명. IE를 쓸 당시에는 즐겨찾기를 정기적으로 백업해두고 이걸 덮어쒸우는 방법을 사용했지만, 서브파티 브라우저인 그린브라우저쓰다가 북마크 파일명 버그에 걸려서 즐겨찾기 대다수를 날리는 병크를 터트린 경험이 있기에 정말 누구에게나 필요한 기능이 아닐까 싶은 부가기능. 일단 파이어폭스를 깔고 부가기능을 설치한뒤, 로그인만 하면 바로 동기화가 시작되어 내가 쓰던 북마크를 그대로 가져와주니 정말 편리한 기능. 한번 서버의 부가기능을 날리는 병크도 하긴했는데, 의외로 쉽게 복구가 가능한고로 안심하고 사용합시다.
06. TooManyTabs
- 웹에서 자료찾을때 유용한 부가기능. 파이어폭스의 탭위에 탭바를 만들어주는데, 웹페이지를 이곳에 저장가능. 사실상 즐겨찾기 기능과 비슷하지만 웹서핑과 자료 모으기에 더욱 특화된 기능. 일단 주소만 자정하여 메모리를 반환하고 저장하기 때문에 탭을 수십개씩 띄어놓고 서핑을 하는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고, 탭바를 여러개 지정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한 자료를 유형별로 저장해놓는 것도 가능. 특히 자주 쓸일은 없는데 꼭 필요한 자료를 저장해놓는데 유용. Xmark로 인한 백업도 가능하기때문에 꽤 편리한 기능. 개인적으로 레포트쓸때 100% 활용하는 툴입니다.
07. Read It Later
- 웹에서 필요한 자료를 즐겨찾기로 저장하는 부가기능인데........TooManyTabs 기능이 등장한 뒤로는 잊혀져가는 부가기능. 장기적으로 보관해야할 자료는 이쪽이 더 좋지만, 이쪽은 원하는 유형별로 분류하는 기능이 없어서........;;;
08. ChromEdit Plus
- 파이어폭스 최적화를 위해 필요한 부가기능. FasterFox와는 다르게 이쪽은 파이어폭스의 설정이나 css를 비롯한 스크립트 파일을 직접적으로 건드리는 기능. 사실 이 부가기능을 사용할 필요없이 직접건드릴 수도 있지만, 잘못설정할시 이도저도 못하는 상황을 생각하면 이 부가기능을 사용하는게 유용. 여담으로 이 기능은 부가기능페이지에서 검색이 안된다. 구글에서 검색해 개발자 홈페이지에서 직접 설치해야함.
09. Flashgot
- Flash Get이나 Giga Get, FDM 같은 외부다운로더 프로그램을 파이어폭스와 연동해주는 프로그램. 한때는 유용했고, 지금도 일부에서는 꽤 인기있는 부가기능이지만...........;;;
10. DownThemAll!
- 파이어폭스 전용 다운로드 부가기능. 외부다운로더 프로그램을 연동시키는 FlashGot과는 다르게 이쪽은 그낭 다운로더. 왠만한 기능은 다 갖추어져있고, 파이어폭스와의 연동도 뛰어난지라 전 그냥 이쪽을 씁니다. 솔직히 다운로더 프로그램은 자주 쓰지도 않는지라..........
11. DownLoad Statusbar
- 실시간 다운로드 감시툴. 저는 대용량 파일이 아닌이상 그냥 일반 다운로드를 사용하는지라 그럭저럭 유용하게 사용중입니다. 요새 DownThemAll!의 사용률이 높아져서 볼일이 줄어들었지만.
12. DownloadHelper
- 스트리밍 동영상을 다운로드 할 수 있게하는 부가기능......이긴한데, 가끔 같은 영상이 여러개의 주소로 뜨는 바람에 관리가 힘든 면이 있습니다. 일단 유투브를 제외한 스트리밍 영상을 다운 받을때는 나름 편리한 부가기능.
13. YouTobe Video DownLoader
- 위와 마찬가지로 스트리밍 동영상 다운로드 툴. 다만 이쪽은 유투브 전용. 일반 영상외에 HD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는 기능도 붙어있기때문에 유투브 사용자는 이쪽의 활용도가 더 높음.
14. Open in Browser
- IE처럼 웹에서 파일을 다운받지않고 바로 실행가능하게 해주는 툴. exe나 msi파일같은 경우는 연동이 안되지만, 문서파일이나 토렌토처럼 관련프로그램이 깔려있는 경우의 연동은 훌륭한 편이니 나름 필수 기능.
15. IE Tab
- 파이어폭스에서 IE엔진으로 웹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부가기능. 한국웹의 타 브라우저 호환율은 바닥을 치기때문에 아직 몇몇 곳에서는 이걸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는지라 나름 필수 툴. 솔직히 언젠가 필요없어지는 날만이 기다려지는 툴 중 하나.
16. IE View Lite
- IE Tab로 열면 가끔 브라우저가 다운되거나 문제가 발생하는 웹페이지를 위한 부가기능. 엔진만 가져오오는 IE Tab와는 다르게 이쪽은 그냥 IE를 열어줍니다. 다만 64비트 IE의 경우 간혹 디폴트가 64비트 IE인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32비트로 변경해주자. 64비트 IE는 adobe가 64비트 IE을 지원하는 플래쉬를 제작하지 않았기때문에 여러가지로 충돌이 심각함.
17. Linkification
- 텍스트로 되어있는 웹페이지를 클릭만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부가기능. 다만 간혹 웹주소 뒤에있는 문자까지 붙여버리는 경우가 있기에 개선이 필요. (예 : 'lis85.egloos.com를' 같은 경우) 같은 기능을 행하는 부가기능으로 Copy Link Name가 있음.
18. Fission
- 주소줄에 웹페이지의 로딩속도를 보여주는 부가기능. IE와는 다르게 로딩상황을 보여주지 않는 파폭이라 깔아두면 편리.(없어도 딱히 문제는 없지만)
19. Easy DragToGo
- 제스쳐관련 부가기능. 약간의 설정으로 원하는 작업을 마우스 제스쳐 한번으로 가능하게 해줍니다. 처음깔때는 활용도가 낮을 것 같지만 사용해보면 은근히 활용하게 되는 부가기능.
20. easyGestures
- 개인적으로는 Easy DragToGo보다 활용도가 높은 기능. 휠을 클릭하는 것으로 마우스 커서 주위로 도구모음이 나오는데 이것을 또 원하는 기능으로 지정해줄 수 있기에 상당히 편리. 키보드 사용량을 줄여주는 부가기능 중 하나.
21. QuickNote
- 메모장 부가기능. 최대 4개의 메모장을 탭으로 사용가능한데, 딱히 수정하지 않는이상 입력한 내용은 계속 저장되고, 메모장의 특성상 활용도도 높은 기능. 사이드바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기에 웹서핑을 하면서 자료정리하기도 좋습니다. 레포트 사용할때 애용하는 기능.
22. ScrapBook
- 웹페이지를 그대로 하드에 저장하는 기능.....인데, TooManyTabs, Read It Later의 등장으로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기능. 현재 새 버전을 베타테스트 중인데 과연 어떤 기능이 추가되려나............
23. Image Zoom
- 웹에서 보이는 그림을 확대/축소가능하게 해주는 부가 기능.
24. WebMail Notifier
- 웹메일 알림이. 자신의 메일계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해주는 부가기능으로 현재 네이버, 다음, G메일, 핫메일, 야후, 네이트를 지원합니다.
25. 한RSS 알리미
- 한RSS에서 지원하는 RSS 관리 툴. 새로 갱신된 RSS가 있다면 알려주는 툴로 부가기능 홈페이지가 아닌 한RSS에서 직접 지원.
26. Shinbiro Downloader for Firefox
- 파이어폭스에서 신비로 다운로더를 사용할 수 있게해주는 툴. 마찬가지로 부가기능 페이지에서는 검색이 안되고, 개발자이신 게으른 늘보님의 홈페이지에서 직접 배포하시고 있습니다.
27. PictureBasket
- 모에보드의 이미지를 지정한 페이지에 자동 저장해주는 부가기능. 모에보드 게시판으로 들어가면 업로드되어있는 이미지를 지정한 폴더로 자동저장한다. 최근에는 Pixiv도 지원하도록 패치가 되었음. 게으른 늘보님의 홈페이지에서 직접 배포. 여담으로 제가 이 기능때문에 모에모드 다시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그전에는 일일히 저장하는게 정말 귀찮.....
28. TransFox
- 파이어폭스에서 일본어 페이지를 번역해주는 부가기능. 부가기능 자체에 기능이 있는게 아니라 이지트랜스같은 번역프로그램과 연동시키는 겁니다. 때문에 사용자사전도 지원가능. 게으른 늘보님의 홈페이지에서 직접 배포.
이상 현재 사용하고 있는 파이어폭스 부가기능입니다. 본래는 더 많았지만 버전업데이트 될때마다 탈락하거나 업데이트하지 않는 기능이 빠지다 보니 대략 이 정도로 줄었군요.(그래도 많지만) 뭐, 누누히 말하지만 덕분에 파이어폭스 아니면 제대로 웹서핑도 못합니다. IE는 물론이고 크롬이나 오페라도 이런저런 활용이 불가능해서..........;;;;
그러고보면 파이어폭스 점유율이 드디어 IE를 넘었다는데 슬슬 한국에서도 IE퇴출 운동이나 벌였으면..........;;;(정말 이해가 안되는 것이 윈미플이나 윈도우메신저는 한국에서 독점으로 걸렸으면서 IE는 왜 안걸리는걸까.....)
PS. 아래 포스팅쓰다 빼먹은거 하나.
IE8, 묘하게 인터넷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파폭은 인터넷이 멀쩡히 되는데, IE8이나 IE8의 서버설정을 일부 사용하는 크롬의 경우에는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이게 언제 어떻게 터질지 모르는데 보통 IE8의 설정을 초기화해주면 되돌아오더군요. 진짜 이놈의 IE8은 안빼주려나.......(파폭만 사용하는 저로서는 정말 쓰잘데기없는 프로그램)
반응형
댓글